253.7㎚의 자외선을 미생물에 조사하면 세포속의 핵산부위에 흡수되어 DNA를 파괴시킴으로써 증식능력을 잃게 되며 피조물에 대한 맛, 냄새, 색깔, 온도 및 기타의 화학적인 성질 등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획기적인 살균 장치이다.
유수 살균(Sterilization of Water)
오존(O3)처리법은 염소보다 훨씬 강한 오존의 산화력을 이용하여 살균(소독), 맛, 냄새 유발물질 및 색도의 제거, 유기화합물의 농도 저하, 철. 망간 등 특정 금속이온의 산화 목적 등에 이용된다.
오존은 유기물과 반응하여 부산물을 생성하므로 일반적으로 오존처리의 후속처리로 활성탄 여과처리가 병행된다. 또한 오존처리에 수반되는 문제점으로서 중요한 것은 용존 잔류오존과 배출오존의 처리가 있다.
처리공정 내에서의 과다한 용존 잔류오존은 강력한 산화력에 의하여 후속처리인 활성탄의 빠른 소모를 초래하며 배출오존이 대기 중에 배출될 경우 노동안전위생 또는 환경상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완전히 파괴하여야 한다.
오존은 원수(전처리), 침전수(중간처리), 여과수(후처리)에 주입할 수 있으며 원수에 주입하는 전 오존 처리는 긴 접촉시간을 필요로 함으로 특별히 색도가 높은 경우에 적합하나 탁도에 의한 오존소비량이 많아진다.
그러므로 정수설비의 조건에 맞추어 주입점을 정하고 가능한한 충분한 접촉시간이 확보되도록 접촉조의 신중한 설계가 필요하며 또한 배출 오존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밀폐식으로 제작 되어야한다.
산소발생기를 사용하면 높은 농도의 오존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으나, 일반 공기를 사용할 경우 대기중의 질소로 인하여 오존 발생기 내부에 질산화합물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일반 공기를 사용할 경우 운전 노점(Dew Point)은 -70℃ 이하가 바람직하다.
Conc. Wt(%) | g/Nm3Air | g/Nm3O2 | Conc. Wt(%) | g/Nm3Air | g/Nm3O2 | |
---|---|---|---|---|---|---|
1 | 12.97 | 14.34 | 3.5 | 45.74 | 50.61 | |
1.25 | 16.22 | 17.94 | 3.75 | 49.04 | 54.27 | |
1.5 | 19.48 | 21.54 | 4 | 52.35 | 57.93 | |
1.75 | 22.75 | 25.15 | 5 | 65.64 | 72.66 | |
2 | 26.02 | 28.77 | 6 | 79.01 | 87.49 | |
2.25 | 29.29 | 32.40 | 6.5 | 85.73 | 94.94 | |
2.5 | 32.57 | 36.03 | 7 | 92.46 | 102.42 | |
2.75 | 35.86 | 39.66 | 7.5 | 99.22 | 109.92 | |
3 | 39.14 | 43.30 | 8 | 106.00 | 117.45 | |
3.25 | 42.44 | 46.95 | 8.5 | 112.80 | 125.01 |
음용수는 병원균 및 각종 미생물에 오염되지 않고 위생적으로 안전하여야 한다. 여과장치 등 물리적 처리만으로 수중의 세균을 제거하기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적절한 살균 또는 소독설비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여러가지 방법 중 염소투입 장치는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약품 비용 등 유지경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염소소독제는 대량의 물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살균이 가능한 동시에 살균력이 잔류 되는 것이 최대의 장점이다.
살균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