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 또는 공업용수 중에 함유된 탁질(Turbid matter) 및 부유물질(Suspended Solids) 등을 입상 여과재 층에 통과시켜 제거하는 장치이다. 공급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 여과재의 선택 및 역세척(Back-Wash)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며 완속여과방식(중력식)과 급속여과방식(압력식) 으로 구분된다
활성탄소 특유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공급수 중에 함유된 방향성 물질 및 잔류염소 등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활성탄소는 야자(Coconut)열매의 부산물을 주원료로 하여 고도의 활성화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여과재로서 각종 산업분야 및 환경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적용분야
철(Fe)과 망간(Mn)을 함유한 지하수는 일반적으로 양수 초기에는 무색투명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 되면 대기 중의 산소(O2)와 접촉하면서 산화(Oxidation)되어 담갈색과 흑색의 침전물이 생성되므로 공업용수 및 음용수로 사용할 경우 심각한 장해를 초래할 수 있다.
다양한 처리 방법이 있으나 Feroxer System은 장치의 취급이 용이하고 처리효율이 비교적 우수한 접촉산화 방식의 장치이다.
원수(센물)를 양이온교환수지 층에 통과시켜 연수(단물)를 제조하는 장치이다.
공급수 중에 함유된 경도 성분인 칼슘(Ca+2) 및 마그네슘(Mg+2)등을 양이온교환수지의 제거반응을 이용하여 물에 의한 백화현상(Scale)으로 발생 되는 여러가지 장해요인을 제거한다.
따라서 경도가 높은 지하수를 보일러용수 및 기계장비 냉각수로 사용할 경우 필수적인 장치이다.
양이온교환수지의 제거 능력이 소진되면 10% 농도의 염수(소금물)로 재생하여 그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양이온교환수지의 경도 제거반응과 재생반응은 아래와 같다.
정밀여과장치는 여과재(Media)를 이용한 방법과 일반적인 「여과」의 개념에서 볼 때 그 처리결과는 유사하나, 실제 활용에 있어서는 장치의 사용상 차이가 있다.
Media를 이용한 장치는 공급수가 Media 층을 통과하면서 수중에 함유된 오염물질들이 Media 층에 억류되거나 흡착된다. 따라서 역세척 공정을 통하여 억류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그 기능을 환원 유지시키는 방식이며 정밀여과장치는 다공성의 화학섬유 등으로 제조된 Cartridge Type의 Filter를 Vessel 내에 삽입 장착하여 공급수가 Filter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섬유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억류 여과되며, 억류량이 포화상태가 되면 Cartridge Filter를 교환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고속응집침전장치는 수중의 탁도를 제거함에 있어 기존 플록의 존재 하에서 새로운 Floc을 형성시키는 공법으로 응집침전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고속응집침전장치는 원리상 또는 구조상으로 슬러리 순환형, 슬러지 블랑켓형 그리고 복합형으로 구분되며 원수의 조건, 운전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적용범위를 가지고 있으므로 계획하는 정수장의 여건에 따라 충분히 검토하여 기종을 선택 하여야 한다.